1. 정보시스템 감리와 PMO 개념 비교
정보시스템감리 | - 제3자의 입장에서 정보시스템을 평가하고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이슈나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을 권고하는 활동 |
PMO(Project Management Office) | - 발주자 관점에서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범위, 일정, 비용, 위험 관리 등을 수행하는 전담 조직 |
- 감리는 3자적 관점, PMO는 발주기관 관점에서 수행
2. 정보시스템 감리와 PMO 상세 비교
구분 | 정복시스템감리 | PMO |
대상 | - 정보시스템의 구축에 관련된 문서위주 | -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련된 모든 문서, 절차 |
필요성 | - 객관적인 검증 필요 | - 발주자 입장에서 사업관리 |
역활 | - 문제점에 도출 및 해결 권고 | - 문제점을 해결하여 위험 감소 |
산출물 | - 감리계획서, 결과보고서 - 시정조치확인보고서 |
- PMO수행 보고서 - PMO검토 보고서 |
법적근거 | - 전자정부법 제57조 1항 의무 | - 전자정부법 제64조 2항 권고 |
수행시기 | - EA, ISP, SD, DB, OP, MA단계에서 수행 | - 도입 시간에 따른 차이 존재 |
수행인력 | - 주로 제3의 감리 사업자 | - 내부 혹은 외부의 PMO 조직 |
- 감리는 품질 보증에 중점, PMO는 프로젝트 관리 중점 "끝"
'ITPE > 소프트웨어공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SO/IEC 25000 (0) | 2022.12.11 |
---|---|
SLA(Service Level Agreement) (0) | 2022.12.11 |
프로젝트 위험관리 (0) | 2022.11.28 |
코드 난독화(Code Obfuscation) (0) | 2022.11.27 |
3R(Reverse Engineering, Re-Engineering, Reuse Engineering) (0) | 2022.11.27 |